ESG 데일리, 환경감시일보 민병돈 기자 | 안녕하세요, 환경감시국민운동본부 임원 및 회원여러분. 2025년 새해를 맞이하여, 환경감시국민운동의 모든 회원 여러분께 진심 어린 인사를 드립니다.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면서, 우리는 더욱 밝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여러 가지 계획과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주인이 되는 해가 되길 부탁드립니다 1. 나무 심기 릴레이 플랫폼(ECOIN App.) 오픈 - 현재 에코인 나무 심기 릴레이 플랫폼을 오픈하여, 국민 여러분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기업들도 ESG활동을 위한 참여 프로그램으로 이를 통해 자연을 보호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2. 탄소배출권 거래소 운영 - 2025년 상반기에는 탄소배출권 거래소 시스템개발을 통하여 개설하여, 기업과 개인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이 거래소는 개인들이 환경활동으로 포집한 탄소를 기업에게 판매를 하는 시스템이며 봉사와 지구온난화 방지에 대한 노력의 가치를 받는 거래소이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입니다. 3. 환경 교육 및 캠페인 강화 - 환경 보호에 대한 인
권리를 주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것이 더 아름답다. 인간의 인권은 누구도 침해할 수 없으며, 인간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권리 뒤에는 반드시 의무와 책임이 따른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책임을 다하지 못하며 권리만을 주장하는 사람은 참으로 뻔뻔한 사람이며, 사회악으로 사회를 혼란스럽게 하고 분열과 갈등의 씨앗이 되어 국가를 망하게 만든다. 세상에는 꼭 있어야 할 사람과 있어서는 안 될 사람 또는 있으나 마나 한 사람이 있다. 권리보다 의무와 책임에 충실한 사람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사람이며 이들은 사회를 아름답고 행복하게 만든다. 그러나 권리만을 주장하는 사람은 있어서는 안 될 사람이며, 사회를 피폐하게 만들고 사람을 아프고 고통스럽게 만들고 사회와 국가를 망하게 한다. 책임과 의무에 충실하고 그에 대한 노력을 전제로 하면서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은 많으면 많을수록 사회를 아름답게 하고 인간을 행복하게 만든다. 그러나 권리만을 주장하는 있으나 마나 한 사람은 많다고 해서 꼭 사회가 망하거나 인간이 불행해지지는 않는 않는다. 있어야 할 사람이 있으면 좋고, 있어서는 안 될 사람이 있으면 아쉬울
올해는 3·15의거가 일어난 지 60주년이 되는 해다. 창원시는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에 물꼬를 틔운 3·15의거 60주년을 맞아 3·15의거 정신을 계승·발전시키며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3·15의거 배경과 시위 전개과정, 의의를 되짚어본다. △자유당 정권 장기집권 야욕으로 벌인 부정선거로 3·15의거 발생 = 이승만 전 대통령은 1948년 초대 대통령부터 1960년 당시 3대째 대통령을 지내고 있었다. 그는 12년 동안 대통령을 했음에도 장기집권체제를 연장하고, 승계권을 가진 부통령에 이기붕을 당선시키는 장기집권야욕을 노골화했다. 1960년 3월 15일 선거를 앞두고 준비과정에서부터 공권력을 동원해 노골적인 부정행위를 저질렀고, 이에 2월 28일 대구에서 학생들의 첫 시위가 터졌다. 3월 15일 선거 당일, 자유당 정권은 사전투표, 3인조·9인조 공개투표, 투표함 바꿔치기 등 온갖 부정행위를 저질렀다. 이런 부정행위 결과로 개표 과정에서 부통령 이기붕의 표가 100%에 육박하는 결과가 나오자, 이를 79%로 하향 조정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공공연한 부정행위를 목격한 마산시민들은 “협잡선거 물리쳐라”는 구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