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감시일보, ESG 데일리 김동민 기자 | 오늘은 "제80회 4월 5일 식목일!" 이번 산불과 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어느 때 보다 나무심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이 때 식목일의 역사적 배경과 다른 나라의 식목일에 대해 알아본다. 1. 식목일의 기원 식목일은 1872년 일본에서 최초로 시작되었다. 일본 정부는 국토의 환경 보호와 산림 조성을 위해 4월 1일을 '식목일'로 지정하고,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나무 심기를 장려했다. 이는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한 중요한 노력이었다. 2. 한국에서의 도입 한국은 1946년 4월 5일에 공식적으로 식목일을 제정했다. 비록 일본의 영향을 받았지만, 점차 한국의 고유한 자연환경과 문화적 맥락에 맞게 발전해왔다. 식목일은 점차 나무를 심고 환경을 보호하는 의미 깊은 날로 자리 잡았다. 3. 법적 제정 1973년, 한국 정부는 '식목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매년 4월 5일을 공식적인 식목일로 확정했다. 이 법률은 나무 심기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국민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4. 현대의 식목일 현대에 접어들면서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환경감시일보, ESG 데일리 강화지회장 박성진 기자 | 강화군 양사면(면장 이지영)은 지난 31일, 다가오는 제80회 식목일을 기념해 ‘내 나무 갖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나무 나누어주기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식목일을 맞아 주민들이 내 나무를 직접 심고 가꾸어 탄소 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마련됐다. 작년에도 과실수 320주를 배부해 행사가 성황리에 마무리됐으며, 올해는 1년생 묘목(사과, 매실, 체리, 자두) 220주를 준비해 마을 주민에게 무료로 나눠 주었다. 이지영 양사면장은 “탄소 주요 흡수원인 산림과 수목의 중요성이 큰 만큼 오늘 행사가 무척 뜻깊다”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면민들이 내 나무를 갖고, 심고, 가꾸는 일에 적극 동참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