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강화군,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 ‘강화반닫이’로 재탄생

태풍 피해 보호수 예술작품으로 새생명, 그루터기엔 그림자 재현
5월부터 강화역사박물관·소창체험관 전시

 

환경감시일보 곽종일 기자 | 지난 2019년 초대형 태풍 ‘링링’에 쓰러진 강화군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 보호수가 전통가구 ‘강화반닫이’로 재탄생했다.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는 지난 2000년 11월 인천시 유형문화재 24호로 지정되었다. 연미정을 사이에 두고 북쪽과 남쪽에 느티나무 2그루가 웅장함을 자랑했으나, 지난 2019년 높이 22m, 둘레 4.5m인 북쪽 느티나무가 역대 5위 급 강풍을 몰고 온 태풍 ‘링링’에 의해 완전히 부러져 고사했다.

 이에 군은 ‘연미정 500년 느티나무 새 생명 불어넣기 사업’을 추진해, 부러진 나무를 활용해 ‘강화반닫이’ 작품으로 재탄생시켰다. 반닫이 제작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이수자 양석중 소목장이 진행했다. 또한, 연미정의 나무 그루터기에는 그림자를 재현할 계획이다.

 

강화반닫이는 반닫이 중 가장 상품으로 손꼽으며 그 섬세하고 치밀한 세공이 놀라워 조선조 궁궐용으로 많이 제작됐다. 금구장식으로는 무쇠와 놋쇠가 주재(主材)이며, 약과형의 긴 경첩 속에 亞자·卍자를 투각하고 감잡이(합쳐 못을 박은 쇠) 장식이 화려하다. 다른 반닫이보다 키가 커 시원한 느낌을 주며, 중앙에는 호리병형의 경첩을 달아 장식 효과를 높였다.

 

강화반닫이는 총 2점이 제작됐다. 1점은 현재 강화역사박물관에서 관람이 가능하고, 다른 1점은 이달 중 강화소창체험관에 전시된다.

 

양석중 소목장 “강화에는 역사와 전통이 깊은 고유의 문화재들이 여러 가지 있지만, 강화반닫이를 아는 이는 많지 않아 이번 기회에 널리 홍보되었으면 좋겠다”며 “고유의 예술성을 알리고자 기쁜 마음으로 재능기부를 하게 됐다”고 밝혔다. 

 

유천호 군수는 “연미정에 오르면 500년 느티나무 두 그루의 웅장한 자태와 함께, 한강하구 너머로 북한 개풍군이 한눈에 들어오는 절경이 일품”이라며 “지금은 느티나무 2그루 중 1그루밖에 볼 수 없지만, 강화반닫이로 재탄생한 고목의 이야기는 강화군의 소중한 관광 자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앞으로도 연미정 500년 느타나무 유산 보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더보기


정치

더보기
“대한민국 천군만마” K-국방·방산·안보 비전으로 제21대 대선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대한민국의 국방·안보 분야를 이끌어온 각계 베테랑들이 모인 민간 전문가 단체 「대한민국 천군만마(天軍萬馬)」가 다시금 결집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들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제21대 대선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며, ‘K-국방·K-방산·K-안보’ 3대 비전을 제시하고 나섰다. 공동대표로는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 백군기 예비역 육군대장, 부석종 예비역 해군대장, 이선희 전 방위사업청장이 이름을 올렸으며, 예비역 장군, 정보기관 및 경찰 출신, 안보 전문가,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천군만마」는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민주주의와 국방안보의 정상화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후보 지지를 표명하며 결성된 단체다. 이후 약 9년간 대한민국의 튼튼한 안보와 평화 구축,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활동을 지속해왔다. 특히, 출범 당시 공동위원장이던 송영무 전 해군참모총장은 문재인 정부 초대 국방부 장관으로, 남북 군사 긴장을 완화한 「9·19 군사합의」 체결에 기여한 인물이다. 또한, 국정원 차장 출신 서훈은 국정원장으로서 남북·북미 정상회담 성사를 주도하며 한반도의 위기를 평화 국면으로 전환시키는 데 결정적인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