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생명의 보고”한국의 갯벌!

  • 등록 2025.05.22 10:09:13
  • 조회수 8
  • 댓글 0
크게보기

환경감시일보, ESG 데일리 민병돈 기자 |

 

 

특별기고-(16)

행정학 석사 / 경영학 박사

(현)환경감식국민운동본부 총재대행

(현)대한민국의정회 ESG환경위원장

(전)서울특별시의원/녹색성장특위원장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생명의 보고”한국의 갯벌!

 

 "대한민국의 갯벌: 생명의 보고이자 자연유산이다.우리나라는 서해와 남해를 중심으로 넓고 다양한 갯벌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서해안 갯벌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생태적 가치가 뛰어나며, 2021년에는 '한국의 갯벌(Korean Tidal Flats)'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1.  갯벌의 종류와 특징 : 우리나라 갯벌은 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1) 서해안 갯벌 : 조석간만의 차가 커서 넓게 발달한 진흙 갯벌이 많습니다. 이 진흙 갯벌은 미

     세한 퇴적물이 풍부하여 다양한 미생물과 저서생물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2) 남해안 갯벌 : 서해안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리아스식 해안의 특징을 보여 복잡한 지형과 다       양한 퇴적상(모래, 펄, 혼합)을 가진다. 이는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처가 된다.

 

2.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갯벌은 단순한 흙벌이 아니라, 지구 생태계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명의 보고“이다.

  1)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 : 갯벌은 수많은 저서생물(게, 조개, 갯지렁이 등)과 물고기, 철새들의        중요한 서식지이자 먹이터이다. 특히 도요새, 물떼새 등 수많은 철새들이 이동 중 잠시 머물        며 에너지를 보충하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2) 해양 생태계의 생산성 증대 : 갯벌에 사는 미생물과 저서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고 영양염        을 순환시켜 해양 생태계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3) 자연정화 기능 : 갯벌의 미생물들은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흡수하여 바다를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역할을 한다. 육지에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해양 오염을 줄이는 데 크         게 기여한다.

  4) 재해 예방 기능 : 갯벌은 파도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분산시켜 해안선을 보호하며, 태풍이나        해일로부터 육지를 지키는 방어벽 역할을 한다.

  5) 기후 조절 기능 : 갯벌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는 '블루 카본(Blue Carbon)' 생태계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이는 기후 변화 완화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갯벌' 202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갯벌'은 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의 갯벌을 포함한다. 이들 갯벌은 지질학적, 생태학적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특히 철새들의 주요 이동 경로에 위치하여 생물 다양성 보전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갯벌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는 갯벌은 과거에는 개발의 대상이 되어 매립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그 생태적 가치와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현재는 보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    다.

 - 보전 노력: 갯벌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불법 어업 단속, 오염원 관리, 갯벌 복원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 지속 가능한 이용: 갯벌을 보전하면서도 지역 주민들의 삶과 연계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이     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태 관광, 갯벌 체험, 친환경 수산물 생산 등이 그 예시이     다.

 

 우리나라 갯벌은 단순히 자연경관을 넘어, 우리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소중한 자산입니다. 갯벌의 가치를 이해하고 보전하며, 현명하게 이용하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 오대양에 접한 주요 국가들의 갯벌 현황

 

1) 대한민국

  - 위치 : 주로 서해안(인천, 경기, 충남, 전북, 전남)과 남해안 일대

  - 면적 : 약 2,500㎢ 이상

  - 특징 :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갯벌’ 포함철새 이

            동경로의 핵심 지점으로, 수많은 멸종위기종의 서식지탄소 흡수 및 저장 능력이 탁월하

            여 ‘블루카본’ 생태계로 주목받고 있다.

2) 중국

  - 위치 : 황해 연안(산둥성, 장쑤성, 저장성 등)

  - 면적 : 약 14,000㎢ 이상

  - 특징 : 세계 최대 규모의 갯벌 중 하나로서 개발과 간척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심각한 문제

          로 대두 최근에는 보호구역 지정 및 복원 사업이 진행 중이다.

 

3) 네덜란드와 독일

  - 위치 : 북해 연안의 바덴해(Wadden Sea)

  - 면적 : 약 10,000㎢

  - 특징 :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조수 간만의 차가 큰 지역으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

           지 체계적인 보호 및 관리 시스템 운영중이다.

 

4) 영국

  - 위치 : 템즈강 하구, 브리스톨 해협 등

  - 특징 : 산업화로 인해 많은 갯벌이 사라졌으나, 최근 복원 프로젝트 진행 중조류 보호 및 생물             다양성 증진을 위한 노력을 강화했다.

 

5) 미국

  - 위치 : 동부의 체사피크 만, 서부의 샌프란시스코 만 등

  - 특징 : 도시화와 산업화로 갯벌 감소 환경 보호 단체와 정부의 협력으로 복원 사업 진행중이

           다.

 

6) 호주

  - 위치 : 북부와 동부 해안

  - 특징 : 세계에서 가장 큰 맹그로브 숲과 갯벌 지역 보유 생물 다양성이 높고, 탄소 저장 능력이

           뛰어남으로 엄격한 보호 정책 시행 중이다.

 

◼ 갯벌의 중요성과 보호 필요성

 

 - 탄소 흡수 및 저장 : 갯벌은 육상 식생보다 최대 10배 이상의 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지     닌 ‘블루카본’ 생태계이다.

 - 생물 다양성의 보고 : 수많은 해양 생물과 철새들의 서식지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

   수적이다.

 - 자연재해 방지 : 해안 침식 방지 및 홍수 조절 등 자연재해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

   다.

 

◼ 한국의 갯벌 보호를 위한 제안

 

 - 정책 강화 : 갯벌 보호를 위한 법적 제도 강화 및 예산 확대

 - 교육 및 홍보 : 갯벌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 프로그램과 캠페인 확대

 - 지역사회 참여 : 지역 주민과의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관리 방안 마련

 - 국제 협력 : 갯벌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정보 공유

 

 상기에서 설명드린바 같이 대한민국의 갯벌은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생명의 보고” 매우 소중한 유산임을 깨닫고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되도록 절실히 요구된다.

민병돈 기자 minbd36@nate.com
ESG 데일리 © sisadays.co.kr All rights reserved.


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가50133 | 등록일 : 2011-03-08 | 발행일자 : 2021-04-16 | 회장: 리재학 | 발행인 : 이상권 | 대표 : 김동민ㅣ편집인 : 송영배 청소년보호책임자 : 민병돈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특별시 아53713 | 등록일 : 2021-05-20 | 발행일자 : 2021-05-20 연락처 : 1544-3938 | 이메일 : emnh0407@naver.com | 주소 : 서울 구로구 디지털로32길30, 코오롱디지털타워빌란트1차 1104호 | ESG 데일리 © sisadays.co.kr All rights reserved. ESG 데일리의 모든 콘텐츠(기사 등)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