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감시일보, ESG 데일리 민병돈 기자 |

특별기고-(9)
행정학 석사 / 경영학 박사
(현)환경감시국민운동본부 총재대행
(전)서울특별시의원/녹색성장특위원장
(현)대한민국의정회 ESG환경위원장
RE100은 모든 기업의 실천운동이다!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시대를 맞이하여 선진국들이 솔선수범하며 어떻게 하면 이난세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을까에 초첨을 맞추고 CO2를 줄이자는 저감운동을 전개함은 모든 기업에서 배출하는 탄소와 사용하는 신재생에너지의 비율을 50:50으로 만드는 ZERO화 운동으로 모든 기업의 실천운동이다.
1. 서론
글로벌 RE100 이니셔티브 및 주요 참여 기업 분석대한민국의 RE100 도입 현황 및 정책 검토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 연구RE100 이행 시 도전과 기회 분석
2. RE100 개요 및 필요성
탄소중립 실현: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대응ESG 경영 강화: 지속가능경영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음기업 경쟁력 확보: 글로벌 공급망에서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 증가투자 유치: 친환경 투자 펀드 및 금융 기관의 투자 유도
3. 국제사회의 RE100 동향
3.1 글로벌 RE100 참여 기업
- 2023년 기준 4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RE100에 가입
- 청정에너지 지원 정책: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세금 감면 및 보조금 지급
- 주(州)별 재생에너지 의무화 정책 강화: 캘리포니아, 뉴욕 등 주요 주에서 재생에너지 확대
3.2 중국
-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태양광 및 풍력발전 세계 1위
- 국내 기업의 RE100 참여 확대: 알리바바, 텐센트 등의 글로벌 기업이 RE100 가입
3.3 일본
- 2050 탄소중립 목표: 기업들의 RE100 참여 촉진
-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풍력, 태양광 발전소 신규 구축 지원
4. 대한민국의 RE100 도입 현황
4.1 정부의 RE100 정책
- 2021년 RE100 제도 도입: 한국형 RE100(K-RE100) 시행
- 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확대
- PPA(전력구매계약) 허용: 기업이 발전사업자와 직접 재생에너지 전력 구매 가능
4.2 국내 기업의 RE100 참여 현황
- 삼성전자: 2050년까지 전력 100% 재생에너지 전환 목표
- SK그룹: 주요 계열사(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RE100 가입
-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RE100 이행 추진
- 현대차: RE100 기반의 친환경 공장 운영 및 전기차 생산 확대
5. 기업의 RE100 이행 전략
5.1 재생에너지 전력 조달 방식
5.2 PPA(전력구매계약)
- 기업과 발전사업자가 직접 계약하여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는 방식
-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조달 가능
5.3 녹색요금제(Green Pricing)
- 기존 전력망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는 방식
- 정부 및 한전이 운영하는 RE100 전력 공급 프로그램 이용
5..4 재생에너지 증서(REC) 구매
-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REC(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구매
- 기업의 탄소배출권 감축과 연계 가능
5.5 자체 재생에너지 발전
- 태양광, 풍력 발전 시설을 기업이 직접 구축하여 운영
- 초기 투자 비용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경제적 효과 기대 가능
6. RE100 이행의 도전과 기회
6.1 도전 과제
-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이 낮아 기업의 RE100 이행 어려움
- 전력 비용 부담: 재생에너지 전환 초기 비용이 높음
- 정책 불확실성: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정책 필요
6.2 기회 요인
-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강화: ESG 경영 확산으로 소비자 신뢰 확보
- 국제 공급망 경쟁력 확보: 글로벌 고객사 및 투자기관의 요구 충족
- 정부 및 금융 지원 확대: 녹색 금융 및 인센티브 활용 가능
7. 결론 및 교육적 활용 방안
7.1 결론
RE100은 기업의 탄소중립 및 ESG 경영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민국 기업들도 글로벌 기준에 맞춰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다만,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과 비용 부담 등의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7.2 교육적 활용 방안
- 기업 실무 중심 교육: RE100 이행 사례 분석 및 기업 전략 학습
- 재생에너지 정책 및 기술 교육: PPA, REC, 재생에너지 발전 기술 심화 학습
- 국제 협력 및 트렌드 분석: 글로벌 RE100 정책 및 기업 동향 연구
본 자료는 대한민국 기업과 정책 결정자들이 RE100을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후진 양성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대한민국은 수출강국임에는 틀림없으나 앞으로의 숙제는 탄소저감운동이 관건이 될 것이다. 탄소배출권은 바로 국경세이기 때문에 앞으로 국제사회에서는 CO2배출권 확보에도 지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바 정부와 기업의 대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RE100에 대한 심층 분석 및 후진양성 교육자료를 정리하였음으로 참고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