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데일리, 환경감시일보 민병돈 기자 |
80억명이 승선한 지구라는 배에 탑승한 이상, 다음 세대·미래 세대를 위한 최소한의 역할은 해야 하지 않을까. 누구나 반드시 죽는다. 자명한 사실이다.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인가. 어떤 게 좋은 삶이며, 이를 위해 사회는 어떤 가치를 우선시해야 하나. 정치인들은 포괄적으로 공공선(common good)을 지향한다고 말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여기에 구체적으로 존엄성 회복 및 지속 가능성과 금융·자유 시장 경제를 더한 것이 발전된 형태의 공공선, 즉 ESG(환경·사회·거버넌스)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손가락이 가리키는 대상을 보라는 말이 있다. 변화의 흐름 속에서 시대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 국내외 혼란 속에서 변화와 혁신을 위한 지금의 키워드는 무엇인가. 불평등·양극화 해소, 저출산·고령화 극복, 기후 위기 해결, 지방 소멸 대응, 주거·일자리 확충, 소통·통합의 정착까지.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ESG다. 이제는 정부에 ESG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ESG는 금융·경제 용어로 자리 잡았다. 사회의 경제적 파이를 키워야 한다. 대기업·중소기업·소상공인을 지키고 보다 많은 일자리를 만들자는 것이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ESG를 끌고 온 것은, 돈을 가진 금융권 투자자들이 ESG를 요구하는 시대가 됐기 때문이다. 둘째, ESG는 20·30 중심의 MZ세대 용어다. 디지털 기술만큼이나 청년층에게 자연스러운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의 관심을 위해서라도 ESG는 필수가 된 것이다.
셋째, ESG를 통해 저평가된 한국 기업들의 가치를 회복해야 한다. ESG의 핵심은 ESG를 통해 기업 가치를 향상·극대화하겠다는 것이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수단으로 ESG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렇게 하려면 기업의 지배 구조와 경영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경제적으로 더 강한 대한민국을 만들려면 경제 블록화를 해야 한다는 것이 상식이다. 이웃 나라 일본을 시작으로 아시아, 유라시아로 확장해야 한다. 경제 블록화를 하려면 결국에는 ESG를 할 수밖에 없다.
다섯째, ESG를 통한 자립적 복지 강국을 위해 경제 체제를 벤처 금융·투자와 자유 시장 경제에 보다 친화적으로 재편해야 한다. 복지 영역에 자립을 강조하는 지역 살리기를 연결하는 사회적 혁신이 필요하다. 여섯째, ESG로 국제법을 국익 추구 수단으로 하는 법률 전쟁(Lawfare)을 선점해 민주주의 규범을 지키고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강국을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일곱째, 가장 중요한 것으로, ESG의 핵심인 문화 강국 ESG를 통해 종국에 통일을 준비하는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ESG는 결국에 거버넌스, 즉 문화·가치·의식을 바꾸는 일이 핵심이다. 한류의 세계화처럼 ESG를 통해 문화 강국이 실현되면 젊은 층이 많아지는 북한은 내부적으로 더 흔들릴 수밖에 없다. 모두를 위한 공공선과 시민적 덕성을 분명히 제시한, 우리 헌법 1조 1항의 민주주의 국가이자 공화국을 꿈꿔본다. 선(the good)·정의(justice)·공의(righteousness)가 강처럼 흐르게. 나아가 지구 시민 의식, 좀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자유함까지는 너무 큰 욕심일까.
박희정 국회사무처 산하 한국조정협회 ESG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