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2 (토)

  • 구름조금동두천 15.1℃
  • 구름조금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15.6℃
  • 구름조금대전 14.2℃
  • 황사대구 12.9℃
  • 황사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14.7℃
  • 황사부산 13.6℃
  • 구름많음고창 11.4℃
  • 맑음제주 15.1℃
  • 구름많음강화 15.0℃
  • 구름조금보은 12.3℃
  • 구름조금금산 14.4℃
  • 흐림강진군 14.6℃
  • 맑음경주시 9.4℃
  • 맑음거제 13.2℃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삼성重, '바다 위 작은 원전 개발' 속도낸다

- 해상 원자력 발전 설비 부유체...ABS선급 AiP 획득
- 100MW급 소형 용융염원자로 최대 8기 탑재 가능
- 덴마크 시보그社와 함께 미래 新사업으로 육성

ESG 데일리 김용태 기자 |  삼성중공업은 해상 원자력 발전 설비 부유체인 'CMSR Power Barge'에 대한 개념설계를 완료해 美 ABS선급으로부터 기본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획득했다고 4일 밝혔다.


CMSR Power Barge는 원자력과 조선해양 기술의 융합체로 해상에서 소형 용융염원자로(이하 'CMSR') 기술을 활용해 생산한 전기와 열에너지를 육·해상에 공급하는 신개념 발전 설비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부지 선정 및 설비 제약조건이 상대적으로 덜 까다롭고 건설 기간이 약 2년으로 짧으며 비용도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CMSR Power Barge는 전력생산 수요 규모에 맞춰 100MW급 CMSR을 2기에서 최대 8기까지 탑재할 수 있으며, 부유체 내에 스팀 터빈 발전기와 송배전 설비를 갖춘 '바다 위의 작은  원자력 발전소'이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1월 CMSR 개발사인 덴마크 시보그(Seaborg)와 업무협약을 맺고 부유식 원자력 발전 설비 제품 개발에 착수했으며, 이번 부유체 개념설계 선급 인증을 시작으로 CMSR 실증 이후 전체 발전 설비의 상세설계 등을 거쳐 2028년까지 제품을 상용화 할 계획이고 시보그는 상시 전력이 부족한 개발도상 국가들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으며, 삼성중공업은 CMSR Power Barge가 기존 화석연료 기반 발전설비의 대체 수요 뿐만 아니라 산업 공정열·난방열, 수소 생산 및 해수 담수화 설비에 필요한 전기와 열에너지 공급원으로써 수요처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소형 용융염원자로(CMSR, Compact Molten Salt Reactor)는 핵분열 에너지를 활용해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으면서 높은 효율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원이며, CMSR은 일반 대형 원자로에 비해 크기가 작아 활용 분야가 다양하고, 원자로 내부에 이상 신호가 발생하면 액체용융염(핵연료와 냉각재)이 굳도록 설계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삼성중공업 해양설계담당(여동일상무)는 "부유식 원자력 발전설비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사업화 노력을 통해 미래 신시장을 주도할 제품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포토뉴스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차세대 수전해 분리막 기술로 세계 수소시장 우위 선점한다
ESG 데일리 김용태 기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이하 ‘에너지연’)의 국내 연구진이 그린수소{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수전해)하여 생산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적인 수소} 생산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고안정성 분리막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국내 수요기업에 이전 돼, 그린수소 생산 관련 전-후방 소재·부품·장비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수소연구단 조현석 박사 연구진은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은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과 같은 알칼리 전해액을 사용해 물을 수소 양이온(H+)과 수산화 음이온(OH-)으로 분리하는 기술)장치의 수소 생산 밀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고성능, 고안정성의 분리막을 자체 기술로 개발했다. 해외 상용 제품 대비 수소 생산 밀도는 3배 이상 향상시키면서 수소와 산소의 혼합에 의한 폭발 위험은 현저히 억제한 것이 기술의 핵심이고, 수소는 에너지 산업뿐만 아니라 철강, 화학, 운송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어 수요와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2035년 1.8억 톤, 2050년 6.5억 톤으로 전체 에너지 수요의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