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21 (화)

  • 맑음동두천 1.5℃
  • 맑음강릉 5.4℃
  • 맑음서울 2.7℃
  • 맑음대전 2.8℃
  • 맑음대구 4.9℃
  • 구름조금울산 5.0℃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7.8℃
  • 구름많음고창 3.1℃
  • 맑음제주 6.2℃
  • 맑음강화 0.8℃
  • 맑음보은 2.3℃
  • 맑음금산 1.7℃
  • 맑음강진군 4.7℃
  • 맑음경주시 5.8℃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대왕고래 안에 44㎏ '이것' 있다…하루 1천만개 미세플라스틱 꿀꺽

-크릴새우 등 먹이 통해 고래 체내에…"작은 생선 먹는 인간에도 영향"
-대왕 고래가 하루에 미세플라스틱을 최대 1천만 조각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

 

환경감시일보 김용태 기자 |  최대 몸길이 약 30m로 지구상에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로 알려진 대왕 고래가 하루에 미세플라스틱을 최대 1천만 조각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세플라스틱은 인위적으로 제조됐거나,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등이 미세하게 분해돼 만들어진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최근 몇십 년간 해양 내 농도가 높아졌다.

AFP,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샤이럴 카헤인-라포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대왕고래와 긴수염고래, 혹등고래가 매일 엄청난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 남부의 몬터레이만, 채널제도와 패럴론스 및 코델 뱅크 국립 해양보호구역에 서식하는 고래 191마리의 등에 위성 송신기가 달린 전자식 꼬리표를 부착해 얻은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대왕고래가 하루에 최대 1천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3.6㎏에 달하는 양으로, 대왕고래는 1년에 약 10억 조각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헤인-라포트 박사는 "약 45㎏의 미세플라스틱을 몸속에 들고 다닌다고 상상해보라"며 "대왕고래는 매우 큰 동물이지만 그렇다고 해도 45㎏의 미세플라스틱은 상당한 공간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고래가 대부분 미세플라스틱이 밀집된 수심 50∼250m 깊이에서 먹이를 먹는데, 고래 몸에 쌓인 미세플라스틱의 99%가 이 과정에서 흡수되며 또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진 크릴새우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는 고래일수록 체내 미세플라스틱 비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청어나 멸치와 같은 생선을 먹는 혹등고래는 하루에 미세플라스틱을 약 20만 개 섭취하는 반면, 크릴새우를 주로 먹는 혹등고래는 그의 5배인 100만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다며, 연구팀은 고래가 먹이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흡수한다는 사실은 인간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카헤인-라포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인간에게 걱정스러운 일이다. 왜냐하면 크릴새우는 먹이 사슬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에 있으며 인간은 크릴새우를 먹는 멸치와 정어리를 먹기 때문"이라고 말했으며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고래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다는 계획이며,  아직 이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다.

 

@yna.co.kr

포토뉴스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꿀벌 대량 실종 사태막을 '한라벌' 앞장서다
ESG 데일리 김용태 기자 | 19일 농업진흥청에 따르면 꿀벌 증식장은 충남, 전남, 경북 총 3곳에 꿀벌 안정공급 대책의 하나로 꿀벌자원육성품종이 우수한 품종 생산(꿀벌증식장) 을 위해 다른 벌이 없는 격리된 지역이면서 벌의 먹이인 밀원식물이 풍부한 지역에 조성된다. 증식장에는 수벌의 정액을 채취해 여왕벌에 주입하여 인공 수정하는 인공 수정실을 비롯해 꿀벌의 질병 저항성을 연구하는 질병실험실, 인공사육실, 밀원식물실험실, 봉군관리실험실 등 우수 꿀벌 품종 증식을 위한 연구기반시설이 들어서며, 이번에 조성하는 꿀벌 증식장은 실험동(432㎡)과 꿀벌사육사(300㎡)를 갖추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꿀벌 증식장이 완공되는 대로 벌꿀 다수확 품종인 ‘장원벌’과 낭충봉아부패병* 저항성이 높은 ‘한라벌’ 등 꿀벌 증식에 착수하고 양봉농가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보급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장원벌’은 2014년 농촌진흥청과 예천곤충연구소가 공동연구로 개발한 꿀벌 품종이며, 기존 꿀벌보다 꿀 수집 능력이 30% 이상 뛰어나고, 번식력이 왕성해 벌통 1개당 일벌 수가 45%가량 많다. 질병 저항성도 2배 이상 높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꿀벌 품종개발과 생산 체계 구축

사회

더보기